통합 검색어 입력폼

당신의 무기는 성실입니까?

조회수 2017. 10. 17. 18:16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그러니까, 성실한 거 빼고는 내세울 게 없느냐고."

대학을 졸업하고 처음으로 정식 사회생활을 맞이했다. 미술 유치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이었다.


졸업도 간신히 한 나는 내 전공(가구 디자인)으로 할 수 있는 게 정확히 뭔지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사회로 덜렁 나자빠졌다. 그냥 한동안 집에서 좀 놀고 싶은 게 솔직한 마음이었는데 이런 나를 그냥 두고 보지 않던 언니가 미대 나왔으니까 아이들을 가르쳐 보는 건 어떻겠냐는 의견을 내놓았다. 별다른 반발심 없이 집 앞 버스 정류장에서 교차로를 집어 온 나는 거실 바닥에 신문을 깔고 살펴보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집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미술 유치원에서 선생님을 뽑고 있다는 광고를 보았다. 미술 유치원이란 게 있는지도 처음 알았던 나는 면접을 보았고, 덜컥 합격했다. 원장이 유아교육을 전공한 게 아님에도 불구하고 나를 합격시킨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나는 그냥 보조였다. 베테랑 교사는 따로 있었다. 어쨌거나 정말 얼떨결에 취직을 하게 되었고 바로 다음 날부터 미술 유치원이란 곳에 출근하였다.



내 전공이 아니었기 때문에 더 열심히 했다


아침에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차량’을 나가는 것이다. 노란색 승합차 뒷좌석에 탄 나는 그 일대를 돌며 아이들을 하나씩 태운다. 처음 보는 엄마들과 인사를 나누고 아이를 번쩍 안아 차에 태운다. 그리 잘 웃는 타입이 아닌데 엄마들 앞에서 생글생글 웃어야 하는 게 보통 힘든 일이 아니었다. 그렇게 차량을 끝내고 돌아오면 아이들과 간단한 율동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이것도 진짜 적응 안 됐던 걸로 기억한다) 미술 수업은 체계적이라기보다 그때그때 임기응변으로 수업을 진행했다.


지금은 이렇게 껄렁껄렁 이야기를 하지만 나는 꽤 열심히 다녔다. 지각도 안 하고 퇴근도 가장 마지막까지 남았다가 했다. 내가 제대로 유아교육을 전공한 선생이 아니기 때문에 주어진 일이라도 최대한 잘 하고 싶었다.


그렇게 두 달 정도 일했을 때 웬일인지 늦게까지 남아 있던 원장이 나를 불렀다. 하도 오래전 일이라 이야기의 시작이 뭐였는지 기억은 나지 않지만 십수 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잊히지 않는 그 날 원장의 한마디가 있다. 

선생님은 성실한 게 무기야?

할 말을 잃은 나는 10초 정도 멍하니 원장을 바라봤다. 벌어진 입은 다물어지지 않았다. 뭐라고 대답해야 하나 빨리 두뇌를 회전시켜야 했다. 무슨 말씀인지 모르겠다는 듯 눈을 깜박였더니 다시 차근차근 설명해주겠다는 듯 천천히 말했다. 

그러니까, 성실한 거 빼고는 내세울 게 없느냐고.

미대를 나왔다고 하니 나에게 거는 기대가 컸던 원장은 (전공이 가구 디자인인걸요) 성실히 아이들을 돌보는 것 같긴 하나 뭔가 수업에선 기대 이상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내가 답답했던 모양이었다.


성실한 게 무기냐니. 성실한 게 무기냐니. 나는 그날 원장과 면담을 마치고 퇴근하는 길에 이 말을 몇 번이나 되 내었는지 모른다. 아마 수백 번이었을 거다. 지금도 생생한 이 대사가 지워지지 않는 걸 보면 적잖은 충격인 건 사실이었다.

illust by 이영채

성실하면 되는 줄 알았다. 열심히 주어진 일 잘 하고 최선을 다하면 되는 거라 생각했다. 반항할 줄 모르니 고분고분시키는 대로 야근하고 잔업했다. 사회생활이 처음인 나는 그렇게 오전 8시에 출근해서 밤 9시까지 남아 있어도 군소리 한번 한 적 없었다. 그랬는데 오히려 그런 나를 칭찬할 줄 알았던 사람에게 성실한 게 무기냐는, 다소 질타 섞인 말을 들었다. (원장은 그쯤 돼서 나를 자르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그 말은 첫 사회생활에서 들었던 가장 쓴소리였다.



성실한 사람에겐 어떤 무기가 필요했을까?


그렇게 15년 이상이 흘렀다. 성실하기만 한 건 분명 좋은 자질이라 할 수 없다는 것쯤은 나도 안다. 하지만 본인의 자질이 부족하단 걸 아는 사람은 일단 성실하고 봐야 한다. 전문적인 지식도 없는 사람이 성실하지도 못한 채 이것저것 시도를 한다면 그게 더 위험한 것 아닌가. 더군다나 아이들을 가르치는 선생인데.


지금 생각해도 억울한 건, 내가 두 달 동안 지켜본 그 원장은 교육자의 기본은커녕 아이들을 가르칠 자질이 없는 사람이었다는 것이다. (그 여자는 아이들의 교육보다 골프에서 ‘머리 올리는 게’ 더 중대한 문제인 사람이었다) 그런 사람에게 내 성실을 지적당했으니 억울하고 분할 수밖에.


당시 뭘 모르는 사회초년생이었던 나는 분명히 약자였다. 그리고 남들보다 빨리 그런 일을 겪어봤기에 사회적 약자에게 어떤 말은 치명적인 독이 될 수 있다는 것도, 그러므로 절대로 그런 강자는 되어선 안 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원문: 이유미의 브런치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