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공동창작예술이라는 시선과 태도 '리처드 링클레이터: 꿈의 연대기'

조회수 2017. 9. 6. 10:54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영화 촬영 현장까지 이어지는 창작의 시간까지 영화의 일부분이다

리처드 링클레이터만큼 시간이라는 관념을 작품 내외적으로 활용하는 감독이 있을까? 그는 작품 사이 9년의 간격을 두고 18년 동안 공개된 <비포> 트릴로지와 12년의 시간을 담은 <보이후드>를 만들었다.


링클레이터의 힘 있는 기획력과 한 편의 작품을 위해 뭉치는 영화 공동체의 힘이 있었기에 가능한 결과물이다.


루이스 블랙과 카렌 번스타인이 연출한 다큐멘터리 <리처드 링클레이터: 꿈의 연대기>는 1991년 <슬래커>로 데뷔한 링클레이터의 영화관을 정리한다.


<스쿨 오브 락>과 같은 한 두 작품을 제외하면 링클레이터는 할리우드 자본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영화를 제작했다.


할리우드와도 떨어져 있고, 저예산 영화 촬영이 용이한 오스틴에서 링클레이터는 영화를 만들어가기 시작한다.


이 영화는 링클레이터가 자신의 영화 속에서 시간을 담아내듯 링클레이터가 영화를 만들어온 시간을 담아낸다. 그 시간을 차곡차곡 정리하는 것만으로도 관객은 링클레이터의 영화 세계를 엿볼 수 있다.

리처드 링클레이터는 영화가 공동창작의 결과물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인지하고 있는 감독이다. 그의 영화 속 캐스팅이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공동창작을 기반으로 한 영화예술이기 때문일 것이다.


다큐멘터리에도 등장하듯, 링클레이터는 독단적으로 영화의 서사를 만들어내고 캐릭터를 창조해낸 뒤 배우와 기술 스탭을 장기 말처럼 쓰는 감독이 아니다.


그에겐 영화가 기획되고, 스탭과배우의 캐스팅이 진행되며, 영화 촬영 현장까지 이어지는 창작의 시간까지 영화의 일부분이다.


그가 오스틴에서 영화를 처음 만들던 때부터 <보이후드>와 <에브리바디 원츠 썸!!!>을내놓은 지금까지 견지하고 있는 “공동창작예술로써의 영화”라는 태도와 시선은 그 자체가 영화로써 기능한다.


<멍하고 혼돈스러운>이나 <서버비아> 같은 작품들이 특정한 주인공 없이 한시적인 시간대를 담아내는 작품인 것도 이러한 링클레이터의 창작과정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오스틴에서의 어느 시간대를 잘라와, 패션과 음악, 행동 양식까지 시대와 캐릭터를 고스란히 재현하는 링클레이터의 영화는, 한시적으로 모여 영화를 만들고 흩어지는 영화 공동체와 비슷한 형식을 띤다.

<리처드 링클레이터: 꿈의 연대기>는 링클레이터가 지닌 방대한 아카이브를 활용한다. 링클레이터의 영화 클립과 잭 블랙, 에단 호크, 줄리 델피, 메튜 맥커너히 등 여러 배우의 인터뷰는 물론, 링클레이터가 영화를 제작하면서 쓴 메모, 심지어 가계부까지 영화에 등장한다. 


이는 영화의 연출자인 루이스 블랙이 링클레이터가 오스틴 필름 소사이어티를 창립할 때부터 알고 지내던 사이이기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때문에 <리처드 링클레이터: 꿈의 연대기>를 제작하는 것 또한 링클레이터의 영화들처럼 시간을 담아내는 작업이 된다. 영화는 평면적으로 한 인물의 연대기를 쫓아가는 대신 링클레이터의 영화 작법을 다큐멘터리에 적용한다.


그렇기에 90분이라는 짧은 시간에 관객은 링클레이터의 영화 세계와 태도를 확실하게 느낄 수 있다.


원문: 동구리의 브런치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