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멋만 들지 않게 갖춰야 할 '속멋'들

조회수 2017. 4. 11. 15:16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돈이 많고 적고는 별개의 이슈다. 중요한 것은 안목!

1. 자기 일


가장 기본이다. 자기가 하는 일에는 전문가여야 한다. 너무 당연한 것. 다른 걸 백 개 잘해도 정작 자기 자신이 주로 하는 일을 못 하면 겉멋만 든 사람이다. 근데 그럴 사람이 있으려나 금융업계에 종사하면 금융에 대해선 잘 알아야 하는 것은 기본이지 않을까. 나는 컨설팅업계에 있는데 어느 분이 말씀해 주시길,

이 바닥 헛똑똑이들 많아요, 남 가르치는 건 잘해도 막상 자기 것은 못합니다.

컨설팅업계도, 금융업계도 겉멋만 든 헛똑똑이들 많다. 그런 사람이 되지 않게 겉과 속을 모두 채워야 한다.

2. 지식과 상식


책을 가까이하는 사람이 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가장 기본부터. 기본은 신문과 뉴스를 보며 정세를 읽는 감각을 다지고, 고전 문학과 실용적인 저서들을 두루 섭렵하여 자기만의 통찰력이 있는, 그런 사람이 되어야 한다. 아는 게 힘이다. 이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정치, 인문 등에서도 깊게 들어가야 한다. 잡지식도 포함. 누군가 나에게 물어보면 그게 무슨 분야의 질문이든 어느 정도 수준 있는 답변을 내놓을 만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렇게 수준 높은 지식과 상식을 갖고 싶다면 평상시에 여러 분야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생각하는 힘을 길러야 할 것.


특히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들은 대화를 통해 비즈니스의 성패를 좌우할 때가 많다. 사람과 대화를 단 5분만 해보아도 그 사람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천운의 기회가 왔을 때 보기 좋게 날려버리고 싶지 않다면, 평소에 잘 준비하자.

3. 웅변과 작문


무슨 일을 하든 간에 우선 말을 잘할 줄 알아야 한다. 오늘날 사회에서 말 못하면 성공하기 쉽지 않다. 연구직조차 학회에서 발표를 한다. 물론 전달 방법이나 웅변 실력보다 콘텐츠가 백 배는 중요하지만 콘텐츠가 아무리 좋아도 전달력이 꽝이면 그 콘텐츠는 세상의 빛을 보기가 너무나 어렵다. 책이나 다큐멘터리 등을 자주 읽고 보며 밀도 있는 문장력을 키우고, 무대 등에 쫄리지 않게 기회가 생길 때마다 앞에 나가는 연습을 하자. 한 가지 이상의 언어로 웅변 실력을 키우는 것은 플러스알파. 글로벌 시대에 한국어만 잘하면 결국 내수용 인력이다. 글로벌하게 놀자.


글도 잘 써야 한다. 처음부터 헤밍웨이 아저씨처럼 쓸 줄 아는 사람은 이 세상에 단 한 명도 없다. 헤밍웨이도 모든 초고는 걸레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연습이 답이다. 내가 터득한 좋은 방법은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이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글을 한두 개씩 쓰다 보면 자연스럽게 늘게 된다. 남들이 보게 될 글이라 생각하면 몇 번이고 다시 읽으면서 고치고 또 고친다. 그래도 완벽하게 쓰지 못하는 게 인간의 한계다. 아무리 글을 잘 쓰더라도 초고 그대로 놔두는 사람은 이 세상에 없다.

4. 스포츠


사교 운동인 테니스, 골프, 사이클 등은 배우는 게 좋다. 배우지 못했다면 지금이라도 노력하는 게 맞다. 또한 농구, 축구, 야구 등의 대중 스포츠 중에서 본인이 정말로 좋아하는 종목이 하나쯤은 있는 게 좋다. 그리고 자기 지역의 스포츠 뉴스는 알고 있어야 한다. 적어도 메이저 스포츠인 야구, 농구, 축구, 미국의 경우 풋볼까지는 파악하고 있는 게 좋다. 깊게는 몰라도 할 줄 알고, 팀을 알고, 경기를 볼 줄 알고, 그리고 좋아하는 팀이 있는 정도 말이다.

5. 음악


클래식과 재즈, 그리고 락에 대해 어느 정도는 알아야 한다. 쇼팽과 프란츠 리스트가 누군지, 그리고 그들의 음악이 이 세상에 미친 영향이 얼마나 큰지 정도의 지식은 알고 있는 게 좋다. 예시지만 어디 가서 프랭크 시내트라 음악에 대해 5분은 얘기할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겠나.

6. 요리와 술


나도 정말, 정말 취약한 부분이라 요새 공부하고 있다. 파인다이닝(Fine dining)에 관해서도 배우고, 무엇이 맛있는 요리인지 알기 위해 다큐멘터리도 찾아보고, 직접 요리도 해보고 있다. 생각보다 돈이 많이 드는 분야이기도 하지만 멋진 요리를 하나쯤은 알고, 만드는 방법을 익혀 두고, 그것에 관해 요리사와 담론을 지을 정도는 되고자 하는 것이 목표다. 술도 마찬가지. 맥주의 역사, IPA와 라거의 차이, 지역별 특성, 제조방식 등의 지식은 언제든 대화에 써먹을 수 있다.

7. 패션


대표적인 ‘겉멋’으로 알고 있지만 말끔히 차려입은 사람을 구박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오히려 첫인상을 좋게 만든다. 안목이 있는 사람이라면 100달러짜리 자라 슈트와 1,000달러짜리 까날리 슈트의 차이는 단번에 안다. 까날리 슈트를 갖고 있지 않더라도 풀 캔버스와 하프 캔버스의 차이를 알고 비스포크와 레디투웨어(Ready-to-wear)의 차이를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슈트 뿐 아니라 다른 아이템들도 마찬가지.


여기서 겉멋과 속멋의 차이는 무조건 명품을 고르는 것보다, 안목이 있어 품질이 좋고 역사가 있으며 단순하면서도 멋진 옷을 고르는 데서 온다. 베르사체, 발망 천 쪼가리를 500-600달러에 사는 건 적어도 내 견해로는 이해하지 못할 사안이다. 다만 APC나 메르체 비 슈바넨(Merz b. Schwanen)의 티셔츠를 50-100달러에 사는 건 멋진 일이자 추천하고 싶은 일이다. 자신의 경제력에 맞춰서 사는 건 너무나도 기본인지라 주야장천 설명하고 싶지도 않다. 패션을 제대로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은 큰 차이다. 돈이 많고 적고는 별개의 이슈다. 돈이 없어도 패션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아무 브랜드에나 투자하지 않는다.

8. 여행


많이는 못 다니더라도 세계 각지의 여행장소, 특히 유명한 여행지 정도는 알고 있는 게 좋다. 혼자 여행하는 재미를 알면 더욱더 좋다. 많은 사람에겐 비현실적인 일일 수도 있겠으나 1년에 한 번 정도는 여행 갈 수 있게 커리어나 인생을 설계하자. 만약 일이 바빠 어느 해엔 여행을 가지 못 한다면 적어도 책, 다큐 등으로 간접적으로나마 여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9. 미술, 건축, 영화·영상 등 예술


많이 보아야 안다. 미술품이나 건축물을 그냥 한두 번 봐서는 이게 대단한 건지 그냥 발로 그린 거나 지은 건지 모를 수 있다. 건축은 미술품에 비해 좀 더 파악하기 쉬우나 건축도 종류가 다양하다. 브루넬레스키, 크리스토퍼 렌, 르코르뷔지에 등의 건축물과 업적 같은 것을 알아두면 좋다. 영화와 영상도 중요하다. 사실 나는 영상물에 깊은 조예는 없고 그냥 재밌는 게 좋은 사람이다. 그래도 영화를 많이 본다. 안 바쁠 땐 하루에 1-2편씩은 본다. 많이 봐야 안다.

원문: soob in suit.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