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품 인턴: 정규직 전환의 '희망 고문'

조회수 2017. 4. 4. 21: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회사가 우리를 일회용품 쓰듯 이용하고 버렸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어요."
출처: MBC

장미소(25∙여∙가명) 씨가 지난해 4월부터 6개월간 한 외국계 홍보대행사의 인턴(수습직원)으로 일하면서 가장 듣기 싫었던 말이다. 장 씨가 헤드헌터의 소개를 통해 일하게 된 회사는 장 씨를 포함한 10명의 인턴에게 끊임없이 스트레스를 주었다. 일을 배우는 것은 아무리 힘들어도 참을 수 있었지만 툭 하면 ‘정규직 전환’을 내세워 위협하는 상사의 언행은 견디기 괴로웠다.

너 그런 식으로 하면 정규직 전환 안 된다.
뭐 어차피 정규직 전환 안 시키면 되니까.
더 열심히 하면 (정규직 전환) 고려해 볼게.

 

3개월 계약 기간 일방적으로 3개월 더 연장


극심한 취업난 속에서 좋은 직장을 잡느냐 놓치느냐의 기로에 놓인 장 씨와 다른 인턴들은 필사적으로 일에 매달렸다. 고객 기업들을 홍보하고, 보도자료를 준비하는 등의 업무를 아침 9시부터 저녁 7시까지의 근무시간은 물론 밤 11시까지 이어지는 잦은 야근에도 군말 없이 해냈다.

출처: SBS
취업은 누구에게나 쉬운 일이 아니다. SBS 드라마 ‘보스를 지켜라’와 ‘샐러리맨 초한지’의 한 장면.

하지만 당초 3개월로 약속됐던 인턴 기간이 끝날 무렵 회사는 3개월을 더 연장한다고 통보했다. 장 씨가 일하던 도중 사장이 바뀌면서 회사의 인턴제도가 6개월 과정인 정부 주도의 ‘청년인턴제’로 대체됐다는 것이다. 3개월의 고된 생활을 마치고 이제 드디어 정규직이 되나 보다 했던 장 씨는 힘이 빠졌지만 다른 도리가 없어 3개월을 더 열심히 일했다. 


그런데 막상 6개월이 되자 인턴 10명 중 장 씨와 동료 1명만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6개월 동안 야근을 마다치 않고 악착같이 함께 일했던 8명은 허탈한 표정으로 발길을 돌려야 했다. 정규직으로 전환된 장 씨도 결국엔 회사를 그만뒀다. 6개월간 겪은 일들이 마음에 큰 상처로 남았고 회사의 처사에 많이 실망했기 때문이다. 장 씨는 현재 다른 기업에서 정직원으로 일하고 있다.


 

8명 중 1명만 정규직 채용 후 또 인턴 모집 공고


이연희(25∙여∙가명) 씨는 지난해 9월 한 기업의 최종면접을 앞두고 있었지만 ‘2개월 후 정규직 전환’을 약속한 출판사를 선택하기로 마음먹었다. 출판 일을 하고 싶은 마음이 컸기 때문이다. 그런데 첫 출근 날 8명의 인턴이 모인 자리에서 상사는 예상치 못했던 말을 했다.

이 중 몇 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될지 모릅니다. 아무도 안 될 수도 있고, 잘하면 다 될 수도 있어요.

면접 때는 듣지 못했던 말이었다. 별 사고 없이 두 달의 인턴을 거치면 당연히 정규직이 되는 것으로 알고 왔기 때문이다. 다른 인턴들도 당황한 표정이었다.

출처: 구세라
종이컵은 맑은 물을 담고 제 일을 찾은 듯 뿌듯했을 것이다. 하지만 구겨진 채 버려진 종이컵은 마음의 상처를 안았다. 다시 맑은 물을 담을 수 있는 날이 올까. 지난한 인턴 과정을 겪은 청년 구직자들은 구겨진 일회용 종이컵의 모습과 닮았다.

두 달의 인턴 기간 동안 출판사 사람들은 끊임없이 ‘너희 하기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이 씨 등 인턴 8명은 조금이라도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불안해하며 일에 매달렸다. 아침 9시에 출근해서 단 한 번도 6시 정시 퇴근을 해 본 적이 없고 매일 밤 10~11시까지 야근을 했다. 어떤 날은 밤 12시가 다 될 때까지 일하다 막차가 끊기기 직전 지하철역으로 달려가기도 했다. 


그래도 야근 수당은 구경도 못 했다. 한 달 80만 원 남짓의 인턴 보수가 전부였다. 손이 마비될 정도로 칼질했고 복사도 했다. 회사 일과 상관없는 개인 심부름을 시켜도 꾹 참았다. 회사는 야근까지 시키면서도 ‘하루 4시간 일했다’는 서류에 사인하라고 했다. 군말 없이 서명했다.


2개월이 지나자 회사는 8명 중 1명만 정규직으로 채용했다. 이 씨를 포함한 7명의 인턴들은 다시 ‘청년 백수’로 돌아갔다. 이 씨를 더 화나게 한 것은 그 출판사가 이 씨의 인턴만료 일주일 전부터 취업 관련 사이트에 ‘정규직 전환 인턴 모집 공고’를 또 내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두 달간 온갖 일을 시켰던 상사들은 떠나는 인턴들에게 작별인사조차 제대로 하지 않았다.

회사가 우리를 일회용품 쓰듯 이용하고 버렸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어요.

 

취업 가능성 내세워 혹독한 일 참게 하는 ‘희망 고문’


현재 고용노동부에서는 ‘중소기업 청년취업인턴제’ 등을 통해 미취업 청년을 채용하는 기업에 6개월간 약정 임금의 50%(80만 원 한도)를 지원한다. 그래서 일부 기업들은 이 제도를 이용해 비숙련 노동수요를 해결하면서 ‘정규직 전환 가능성’을 내세워 인턴들이 불합리한 처우를 감내하도록 만들고 있다.


그래서 다음카페 ‘닥취고 취업’ 등 취업 관련 게시판에는 채용 의지도 없으면서 정부 지원제도를 이용해 노동력을 착취하는 일부 기업들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출처: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는 중소기업 청년인턴제 등 취업난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벌이고 있다.

회사들로서는 직접 겪어보고 직원을 뽑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인턴제도가 유용하지만 구직자의 입장을 배려하지 않는 일부 기업의 횡포는 취업준비생들을 두 번 울린다. 특히 대학생 등에게 순수하게 일을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미의 인턴제도가 아니라 정규직 취업의 한 과정으로 인턴제를 의무화하는 경우 구직자들은 큰 기회비용을 치러야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지난해 상반기 한 방송사에서 두 달간 인턴을 한 후 최종 선발에서 탈락한 한미희(26·여·가명) 씨는 “2~3달의 인턴 과정에서 배울 수 있는 방송 일은 잡무 정도밖에 없는데 그동안 다른 공채를 준비할 시간을 손해 봤다”고 말했다. 청년구직자들은 기업들이 채용과정에서 사력을 다하는 취업준비생들의 입장을 조금이라도 배려해 주길 바란다고 입을 모았다.


원문: 단비뉴스 / 필자: 구세라 기자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