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한국 언론 사상 최고의 '쇼'

조회수 2017. 2. 18. 16:09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기억하시나요, 참여정부 시절 '취재선진화방안'을
출처: 조선일보

우리나라 기자들이 기레기 소리를 듣게 된 가장 본질적인 사건은 세월호였다. 그때는 사실 일선기자들은 좀 많이 억울한 측면이 있었다. 현장 취재기자들이 어찌할 수 없는 부분들이 꽤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편집 간부, 현장기자, 진보언론, 보수언론 가릴 것 없이 떼거지로 벌였던 한국언론사상 최고의 쇼가 있었다. 참여정부의 '취재선진화방안' 사태였다. 어떤 사안에 대해 한국 언론계가 이렇게 일치단결하여 벌떼같이 들고 일어났던 것은 우리나라에 언론이라는 것이 등장한 이후 최초의 일이며, 앞으로도 이럴 일은 단연코 없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대선 주자들에게 '언론개혁'을 요구한다. 하지만 사실 정권 차원에서, 그리고 정부 영역에서 할 수 있는 언론개혁 방안은 별로 없다. 참여정부는 임기 마지막 해인 2007년 폐쇄적인 기자실 운영이 여론을 왜곡한다고 보고 기자실을 중심으로 한 취재 관행을 바꾸려고 했다.


그런데 그 내용이 별거 아니었다. 부처별 기자실을 폐쇄하고 정부 통합 브리핑룸을 운영하고, 기존 언론이 배타적으로 독점하던 부스 등의 취재 편의시설을 중소, 인터넷 매체 등 모든 언론에게 개방하며, 정부 부처의 사무실을 무시로 드나드는 것을 제한하는 것 등이다.

출처: 뉴시

모든 언론은 '기자실에 대못 박기'와 5공의 언론 통폐합을 연상케 하는 '기자실 통폐합'이라는 상징어를 사용하며 언론 탄압이니, 정보 통제니, 언론 길들이기니, 획일적인 정보통제니 하며 들고 일어났다. 언론노조도 "정부에 대한 감시와 비판을 약화시키고 제약하려는 의도"라며 강력 반발했다.


백 보, 이백 보 양보를 해도 그들에게 가해지는 것은 '약간의 불편함' 정도였다. 자기들만 독점적으로 사용하던 취재 공간을 듣보잡 언론들과 공유하며, 무시로 부처 사무실을 드나들면서 일하고 있는 공무원들 붙잡고 말 시키고 비어 있는 책상이 있으면 책상 위에 있는 서류들 마구 뒤져보는 짓 못하게 되는 것밖에는 없었다.


더 웃기는 것은 이 방안의 수혜자였던 군소, 인터넷 언론들이었다. 이들은 통합브리핑룸의 부스 중 일부를 출입빈도가 높은 기존 언론에 고정으로 제공한다는 부분을 들어 '언론 차별'이라며 같이 들고 일어났다.

출처: 오마이뉴스
출처: 오마이뉴스

계획대로 각 부처의 기자실을 실제로 폐쇄하자 외교부 출입기자들은 청사 로비에 박스와 신문지 펼쳐놓고 거기서 기사를 작성하고 송고를 하는 쇼를 벌인다. 각 언론은 매체 가릴 것 없이 연일 1면 톱으로 시커멓게 제목을 뽑으며 참여정부의 언론 탄압을 성토했다. 한국언론사상 기자들이 가장 투쟁적이었던 순간이 바로 이 순간이었다. 순간적인 투쟁 양상으로는 우리나라 언론사의 가장 큰 자랑인 동아투위를 능가할 것이다.


"나는 왜 조그마한 일에만 분개하는가"라는 김수영의 싯구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가장 잘 들어맞는 상황이 바로 이 상황이다. 시인 김수영이 살아서 그 장면을 봤다면 자신의 아름다운 시구가 그따위 상황에 인용된다는 것에 아마도 절망했을 것이다.


내가 왜 이 글을 쓰는지 대부분 짐작할 것이다. 엊그제 문재인 대표가 추가 질문에 응하지 않았다고 "질문 기회를 막았다"느니, "문 전 대표가 정해진 메시지만 전달할 뿐"(질문받기 싫어한다는 뜻)이라느니, "언론관이 의심된다"느니 설레발을 떨었던 문캠프 출입 기자분들께 올리는 말씀이다. 이명박, 박근혜에게는 고분고분한 당신들의 기자 선배들도 10년 전 딱 그러고 있었다는 것을.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