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대선, 너의 질문은.] 투표 도장에 점 복(卜)자가 새겨진 이유는?

조회수 2017. 3. 5. 09:21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탄피부터 점 복(卜)자까지, 기표 도구 변천사

일본의 공직선거법 46조.

"선거인은 투표소에서 투표용지를 받아 후보자 한명의 이름을 스스로 써 투표함에 넣어야 한다." 

이 말은 유권자가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의 이름을 투표 용지에 또박또박 적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아닌가요?


확인해봤습니다.

출처: 나무위키

일본의 기표방식은 '기명식'이라고 합니다.

유권자가 후보의 이름을 투표용지에 연필로 적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고 합니다.


많은 문제점이 예상되기도 합니다.


후보자의 이름을 잘못 적었다면? 

예를 들어, '아베 신조'라는 이름을 아'배' '산'조라고 적는다면 사표가 될까요?

후보자의 별명을 적는다면..?  


출처: 경향신문

아주 재미있는 일이 있었습니다.


2005년 도쿠시마현 나루토시에서 치러진 시의원 선거에선 후보자의 성은 맞게 썼으나 이름 대신 별명인 '수염'(히게)이라고 쓴 투표용지가 있었다고 합니다. 일본은 이 투표용지를 유효표로 인정했습니다.


유권자의 뜻을 쉽게 무시할 수 없었기에 내린 결정이 아니었을까요?

그렇다면 한국의 기표방식은 어떨까요?


투표를 해보셨다면 아시겠지만 우리나라는 도장을 찍는 방식으로 기표합니다. 공직선거법 159조에서 "'점 복'자가 새겨진 기표용구를 사용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대나무와 탄피도 한때 기표도구였다는 사실!!!

출처: 한겨레

대나무와 탄피는 40년대 말부터 기표도구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동그랗고 길쭉한 물건이 필요했는데 당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던 물건이 대나무와 탄피였다고 합니다.


두 물건은 20년 동안이나 기표도구로 사용됐다고 합니다.

1990년대 들어와 기표도구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탄피와 대나무로 기표를 하면 동그란 모양(O)이 투표용지에 찍히게 됩니다. 그런데 투표용지를 접으면 반대편에도 원형 모양이 묻어나오게 되죠. 유권자가 누구를 찍었는지 정확히 판별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겁니다. 

출처: YTN
동그란 기표 도구 안에 특수한 문양이 들어가게 된 배경입니다. 

1992년 제 13대 대통령 선거에선 ‘○’안에 사람 인(人)자의 표식이 들어간 도장을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얼마지나지 않아 기표도구의 모양이 또 다시 바뀌게 됩니다. 이유가 아주 재밌는데요. 기표도구에 새겨진 사람 인(人)자가 한글의 'ㅅ'으로 보여 특정인을 떠올리게 할 수 있다는 게 그 이유였습니다.

정치권 일각에선 "사람 인자가 김영'삼'의 시옷을 암시하는 것 아니냐"는 항의를 하기도 했습니다.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점 복(卜)자가 새겨진 기표 도장이 만들어진 배경입니다. 이 도장은 1994년부터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직 풀리지 않은 의문점 하나.

우리나라는 하필 왜 도장으로 기표를 하게 됐을까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왜 하필 도장이냐'고 물었습니다.

선관위의 공보과 담당 손민하씨는 "나라마다 문화,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기표 방식도 다른 것이라고 봅니다"면서 "글자를 쓰게 되면 글씨를 쓰지 못하시는 분 혹은 글자를 모르시는 분들의 의사를 반영할 수 없어요"라고 이야기했습니다. 


모든 유권자들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 '도장'을 찍기 시작했고 이게 입법으로 이어졌다는 설명입니다.


출처: 노컷뉴스
대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탄피와 대나무로 시작돼 점 복(卜)자를 갖게 된 기표도구로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에게 한 표, 어떠신가요?

제작 / 나경렬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